/ /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정기예금으로 인한 이자 소득이 기초연금 소득 인정액에 미치는 영향 /
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기예금으로 인한 이자 소득이 기초연금 소득 인정액에 미치는 영향

by 정보리뉴얼 2023. 2. 13.

최근 금리가 조금씩 인하되긴 했지만 작년에 정기예금 금리가 확 올랐을 때 적게는 5%에서 많게는 10%가 되는 정기예금 특판 상품도 출시되어 정기 예금에 많이들 가입하셨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 어르신들 열심히 읽은 내 재산 정기 예금에 딱 넣어놓고 매달 혹은 만기 시 예금 이자를 두둑하게 받으시면 좋기는 한데 기초연금을 받으실 때는 조심하셔야 합니다. 왜냐면 이자 때문입니다.

 

정기예금으로 인한 이자소득이 기초연금 소득 안정액

기초연금만 65세 이상의 소득 하위 70% 어르신들에게 지급되는데 재산과 소득을 종합적으로 환산한 소득 인정액

단독 가구는 202만 원 이하인 경우 최대 32만 2천 원

부부 가구는 소득 인정액이 323만 원 이하일 때 최대 51만 5천 원

소득 인정액을 계산할 때 반영되는 항목

①소득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②재산에는 금융재산, 부동산, 자동차

근로소득

월급에서 108만 원을 기본 공제금

추가 공제 30%

재산지역별 기본공제 금액이 적용

소득이나 재산마다 공제 금액과 계산하는 방법이 각각 다양 합니다.

이자 소득의 경우 매월 4만 원을 공제해줍니다.

예) 1억원을 5% 정기예금에 1년간 가입하면 소득인정액에 얼마나

금융재산은 기본공제가 2천만 원입니다.

1억 원에서 2천만 원을 빼고 소득 환산율 4%를 곱한 뒤 12개월로 나누어주면 약 26만 원이 됩니다.

즉 현금 1억 원은 소득 인정액으로 26만 6천 원이 되는 것입니다.

1억-2천만원(기본공제)×4%(소득환산율)÷12개월=26만원

여기에 1억 원으로 5% 정기예금에 가입했을 때 이자 소득은 500만 원으로 12개월로 나누어주면 41만 원이 되는데 매월 공제되는 금액 4만 원을 빼면 37만 원으로 월 소득 인정액으로 37만 원이 반영됩니다. 정리해보면 원금 1억 원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 26만 원과 정기예금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 37만 원을 더하면 소득 인정액은 약 63만 원이 됩니다.

1억원으로 5% 정기예금에 가입했을때 이자 소득 ; 500만원

500만원 (이자소득)÷ 12개월=41만원 (매월 공제되는 금액 4만원)

37만원(소득인정액)

그럼 2억 원으로 금액을 올려서 계산해보면 현금 2억 원에서 기본 공제 2천만 원을 빼면 1억 8천만 원이 되고 여기에 똑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60만 원이 나오는데요. 그럼 현금 2억 원의 소득 인정액은 60만 원이 됩니다.

예) 2억원을 5% 정기예금에 1년간 가입하면 소득인정액에 얼마나

그리고 2억 원을 5% 정기예금에 가입했을 때의 이자는 천만 원이 되는데 천만 원을 12개월로 나누면 83만 원 매월 이자 공제 금액 4만 원을 빼주면 79만 원으로 월 소득 인정액으로 79만 원이 반영됩니다.

2억-2천만원(기본공제)×4%(소득환산율)÷12개월=60만원, 2억원=소득인정액 60만원

정리해보면 현금 2억 원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 60만 원과 정기예금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 79만 원을 더하면 소득 인정액은 총 139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2억원으로 5% 정기예금에 가입했을때 이자 소득 ; 1000만원

1000만원 (이자소득)÷ 12개월=79만원 (매월 공제되는 금액 4만원)

79만원(소득인정액)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아셔야 할 것이 바로 정기예금 이자 소득 반영 시기입니다.

보건복지부에 문의한 결과 정기예금에 가입했다고 해서 실시간으로 이자 소득이 내 소득 인정액을 계산할 때 반영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이자 소득이 발생하고 실제로 지급한 날 다음 해 4월에 반영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1월 1일에 1년짜리 정기 예금에 가입했다면 2024년 1월 1일이 만기일이 되고 이 날에 이자가 지급됩니다. 따라서 이자가 지급된 날 다음에 4월 즉 2025년 4월에 이자 소득이 소득 인정액에 반영되는 것입니다.

작년 2022년 예금 특판이 쏟아질 때 고금리로 3년짜리 정기예금에 가입하신 분들 꽤 있으셨죠.

이런 경우 예금 만기가 2025년이 되고 그다음에 2026년 4월에 이자 소득이 반영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초연금 인한 이자소득이 기초연금 소득 안정액

고금리 정기예금에 많은 돈을 넣어두면 이자 소득이 많아지는 만큼 소득 인정액도 늘어나게 되어 기초연금에 불리한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원래 소득 인정액이 적어서 이자 소득의 소득 인정액을 더해도 기초연금 산정 기준액에 못 미친다면 당연히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자소득으로 소득 인정액이 증가해 기초연금이 조금 감액된다 하더라도 고금리일수록 이자 소득이 많아지게 되니 기초연금만 받을 때보다는 총 소득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