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주유 중에 시동을 끄는 이유 (과태료 부과) /
본문 바로가기
금융 정보 (특판 소식)

주유 중에 시동을 끄는 이유 (과태료 부과)

by 정보리뉴얼 2023. 3. 10.

매주 한번씩 주유를 하는것같은데 셀프 주유를 하면서 문득 시동을 꺼야지 하고 깜빡 했다는 생각을 하며 시동을 끄고 주유를 히고왔습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분이라면 주유소는 필수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주유소에서 주유원들이 시동을 꺼달라고 하는 경우 있지 않으신가요 하지만 여전히 시동을 켠 상태에서 주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주유를 할 때 왜 시동을 꺼야 하는지 제대로 아는 분들은 생각보다 많이 없는 것 같아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도대체 왜 주유 중에 시동을 꺼야 할까요. 저 역시 시동을 꺼야한다는건 알지만 왜 이유는 확실히 모르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위험해서 아니면 화재의 위험이 있어서 그런 거 아닐까 생각을 하며 시동을 껐습니다. 그런데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주유 중에 시동을 끄는 이유>

첫 번째는 우리가 주의를 하다 보면 가끔 혼유를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휘발유 차량에 경유를 넣거나 경유 차량에 휘발유를 넣게 되면 정말 난감하잖아요. 만약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혼유를 하게 된다면 연료 탱크를 청소하거나 교체한 뒤 다시 기존 기름을 넣으면 대부분 해결이 되지만 시동이 걸려 있다면 상황은 달라진다고 합니다.

혼유한 기름이 엔진까지 타고 들어가게 되면서 엔진뿐만 아니라 연료계통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주유시 시동을 끄는이유

두 번째는 연료 절감과 환경오염 때문이라고 합니다.

필요 없는 공회전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면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할 뿐 아니라 주위에 다른 사람에게 그 매연으로 인한 피해를 주게 됩니다. 또한 주의하는 5분 동안 공회전을 하게 되면 약 40cc의 연료를 소모하게 된다고 합니다.

10분간 공회전을 했다면 1.5km를 운행할 수 있는 연료를 버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유시 시동을 끄는이유

세 번째는 화재의 위험성 때문입니다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기름을 넣게 되면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셀프 주유 시 정전기 패드를 살짝 터치하고 주의하시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설마 아직도 주유소에서 담배 피는 분들은 없으시겠죠.

만약 운전자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한다면 책임은 운전자의 몫이기 때문에 인명 피해뿐 아니라 물질적 배상까지 책임져야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유시 시동을 끄는이유

네 번째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유소는 휘발성 물질들이 가득 들어 있는데요. 만약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기름을 넣었다가 적발된다면 소방법 제42조 6항의 규정에 의거하여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태료 부과는 기름을 넣은 사람에게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주유소를 운영하는 사람에게 부과된다고 하는데요.

최초 적발 시 50만 원

2회 적발 시 100만 원

3회 이상부터는 2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

<가솔린/디젤>

통상적 가솔린의 인하점은 -43도 법에 의하면 반드시 시동정지를

하셔야 합니다.

​디젤차량의 경우 주유 중 시동정지를 하지않아도 법에 위반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공회전 제한규정 위반에 해당 시 2분초과 시 5만원의 과태료 부과

주유시 시동을 끄는이유

이처럼 모든 것을 고려해 봤을 때 내 차를 위해서라도 또는 혹시 모를 사고 예방을 위해서 주유 시 시동을 끄는 주유 하시는게 효율적인것같습니다.

 

댓글